구조체4 Class 기초, 레퍼런스(&)참조 _ 14일차_210601 1. 클래스 - 클래스란 C에서 사용했던 구조체가 C++에서 조금 더 확장된 형태로 불리는 이름이다. 특징 a. 접근 제한 지정자 - 클래스 내의 멤버변수 or 멤버함수의 접근 레벨 지정 b. 생성자와 소멸자 - 객체 생성 또는 소멸시 자동으로 호출 - 직접 만들어주지 않을 경우 기본으로 생성되나 특별한 기능 없음( 형식적 존재 ) c. 멤버함수 - 해당 클래스가 사용하는 전용 함수 - 해당 클래스의 객체가 필요함 - 멤버함수를 객체를 통해서 호출하면, 해당 객체의 주소가 this 포인터로 전달 구조체 클래스 상속 X 상속 O 값 유형, 복사로 전달 참조 유형 기본적으로 Public 기본적으로 private 자료형의 모임 자료형 + 메소드 ( 더 크고 복잡한 객체에 적합) 생성, 소멸 직접해야함 생성, .. 2021. 6. 3. 가변배열 _ 12일차 _210528 1. 가변배열? - 일반적으로 배열(변수)은 처음에 선언했던 크기 만큼을 할당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실행 중에 재할당을 받을 수 없다. 그런데 필요로 인해서 받아야할 때는 어떻게 할것인가! 이때 바로 Heap 메모리 영역에서 동적으로 할당받아 사용하는 거시다. - 구조체를 만들어 본다. 이때 필요한 자료형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필수 자료형을 뽑아 구조체를 구성한다. - 가변배열이 가져야할 기본 함수들을 구성해본다. 새로운 구조체(객체)를 생성하고 그 주소값을 넘겨주면 값을 수정할 수 있다. #과제 1. 가변배열 스스로 만들어보기 2. 가변 배열 안에 넣은 데이터 버블 정렬 하기 2021. 6. 2. 구조체와 동적 할당_ 11일차 _ 210527 1. 구조체와 '->' 의 의미 -"해당 객체에 포인터 타고 들어갔다"의 의미 2. 동적할당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할때에 변수는 스택(Stack) 영역이나 데이터(ROM) 영역에 생성되었다가 사라진다. 그렇다면 힙(Heap) 메모리는 어떤 때에 사용할까? 힙영역은 프로그램 실행중에 실시간으로 메모리가 할당되었다가 해제 될 수 있는 영역이다. 하지만 생성도 직접해야하고 해제도 직접 메모리를 반환해야한다. 동적할당 1. 런타임 중에 대응 가능 2. 사용자가 직접 관리 해야 함( 생성, 해제) malloc ? Memory Allocate, 받은 Byte 사이즈 만큼 힙 영역의 메모리를 가져온다. 원형 : * void malloc(size_t size); - 원형이 *void 이기 때문에 사용시 형 변환을 통해.. 2021. 6. 1. 200513_6일차(구조체,변수, 메모리, 분할구현) 1. 구조체 (User Define Data Type _ 사용자 정의 자료형) - 특징 : 가장 바닥에 있는 구조체는 기본 자료형으로 구성되어있다. C 와 C++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해도 된다. 2. 변수와 메모리 _ 추가 정리 필요 3. 분할 구현 - .cpp 파일과 .h 파일로 나누어 구현하는 법 장점 : 같은 기능끼리 묶어서 정리할 수 있다. 보기에 편리하고 관리가 용이함 단점 : 링크 과정에서 여러 파일을 넘어다니며 함수를 찾아 실행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늦어질 수 있음 a. 헤더 파일 b. c++ 파일 ## TIP 1. 컴파일러 에러 종류 C#### : 컴파일 오류, 문법적인 오류 LNK#### : 링크 오류, 문법적으로 이상 없음 2. 헤더파일에서는 함수를 구현하지 않는 이유 *컴파일은 각각.. 2021. 5. 13. 이전 1 다음